George Gordon, Lord Byron (1788 - 1824) 조지 고든 바이런
1. 생애 (1788~1824)
인생자체가 낭만적인 인물
미모, 다리 장애 ; 방항한 애정 행각으로 국외 추방당함
유럽에서 주로 활동 ; 그리스 독립전쟁 참전중 병으로 죽음
2. Byronism; Byronic hero
- Byronic hero의 특성
Childe Harold, Manfre와 같은 인물형 : Byron 자신과 부분적 유사성이 있음
사회에서 스스로 소외되어 항거하는 인물
열정적이며 우울하고 죄의식에 시달림
- 19세기 후반에 전 유럽에 성행
Heathcliff in Emily Bronte's / Wuthering Heights 폭풍의 언덕
Captai Ahab in Herman Melvill's / Moby Dick
the Supermans in Nietzsche
3. 주요작품
- Manfred (1817)
반인반신적인 추방자 Manfred의 항거
Poetic drama(시극)
- Don Juan(1819 ~ 1824)
미완성 장편 풍자시 (mock - epic)
16세기 스페인 난봉꾼의 편력 > 사회, 문명 비판
-기타
Eastern tales / She walks in beauty 등의 서정시
Childe Harold's Pilgrimage 작품해설
우울하고 도전적, 항거적인 Childe Harold (차일드 해럴드)의 유럽 순례기
Canto 1,2 (1812년) Canto 3 (1816년) Canto 4 (1818년)
Canto 1,2 출판후 유명해짐
I woke one moring and found my self famous 라는 어구를 남김
작품성격 : 여행기 + 자아, 자연, 세상사에 대한 명상
Canto 1 - 총 92 stanza
초반 8행 약강 5보격, 제 9행 약강 6보격 - Spenserian stanza
Frontispiece to a c. 1825 edition of Childe Harold's Pilgrimage
Childe Harold's Pilgrimage 차일드 해럴드의 순례
Oh, thou! in Hellas deemed of heavenly birth,
Muse! formed of fabled at the minstrel's will!
Since shamed full oft by later lyres on earth
Mine dares not call thee from thy sacred hill:
오 그대여! 그리스에서는 천상의 탄생으로 간주되는 자여!
뮤즈이여! 음유시인들의 의지대로 만들어졌거나 꾸며진 존재여!
그대는 이 땅에 있는 훗날 시인들에 의해 아주 자주 수치를 당했기 때문에
나의 시는 그대 저 신성한 산에서 그대를 감히 부르지도 못하겠다.
Yet there I've wandered by thy vaunted rill:
Yes! sighed o'er Delphi's long-deserted shrine,
Where, save that feeble fountain, all is still:
Nor mote my shell awake the weary Nine
To grace so plain a tale-this Lowly lay of mine.
하지만 나도 그곳 그대가 자랑하는 실개전/샘물가에서 방랑한 적이 있다.
그렇다! 델포이의 오래전에 버려진 신전을 보고 한숨지었다.
거기에서는, 그 연약한 샘물 외에는 모두가 고요하다.
나의 시가 지쳐있는 9명의 시신을 깨울 수가 없었다.
너무 평범한 이야기, 이 하찮은 내 곡조를 장식하기 위해.
Whilome in Albion's isle there dwelt a youth,
Who ne in virtue's ways did take delight;
But spent his days in riot most uncouth,
And vexed with mirth the drowsy ear of Night.
옛날에 엘비온의 섬(영국을 의인화함)에 한 청년이 살았는데,
그는 미덕의 길에서는 결코 즐거움을 찾지 못했다.
하지만 너무도 난폭한 방탕으로 그의 나날들을 보내서
밤의 그 졸리는 귀를 환락으로 시끄럽게 만들었다.
Ah, me! in sooth he was a shameless wight,
Sore given to revel and ungodly glee;
Few earthly things found favor in his sight
Save condubines and carnal companie,
And flaunting wassailers of high and low degree.
아! 슬프도다! (=alack) 정말이지 그는 몰염치한 존재였고,
주연과 불견한 환락에 지독하게 빠져있는
지상의 것들은 그 무엇도 그의 눈에 들지 않았다.
애첩들과 육욕의 동반자들을 제외하고는
높고 낮은 지체의 으스대는 술고래를 제외하고는
Childe Harold was he hight - bur whence his name
And lineage long, it suits me not to say;
Suffice it that perchance perchance they were of fame,
And had been glorious in another day;
그는 해럴드 귀공자라고 불려졌다. 그러나 그의 명성과
긴 혈통이 어디에서 나왔는지 내가 말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어쩌면 그의 가문은 명문가였고,
한때는 찬란했었다라고만 말해두자.
But one sad losel soils a name for aye,
However mighty in the olden time;
Nor all that heralds rake from coffined clay,
Nor florid prose, nor honeyed lies of rhyme,
Can blazon evil deeds, or consecrate a crime.
그러나 한 명의 형편없는 무뢰한이 영원히 그 (가문의) 명성을 더럽혔다.
그 옛날에는 얼마나 강력했는지 모르지만
문장관들이 관에 든 시체(죽은 선조들)에게서 긁어모은 모든 것들도,
현란한 산문도, 운문으로 된 달콤한 거짓말들도 (한 집안을 칭송해주는 온갖 미사여구들도)
사악한 행위를 치장할수 없고 범죄를 신성시 할수 없다.
상기 저작물은 저작권법 제 39조 보호 존속기간 경과로, 저작권이 소멸되어 저작권 보호 대상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
2022.11.17 - [영미시] - 영미시 Samuel Taylor Coleridge - Kubla Khan, 사무엘 테일러 콜리지 - 쿠빌라이 칸
영미시 Samuel Taylor Coleridge(사무엘 테일러 콜리지) Kubla Khan(쿠빌라이 칸)
Samuel Taylor Coleridge 사무엘 테일러 콜리지 ▶생애(1772~1834) Wordsworth와 Lyrical Ballads 공저 - 영국낭만주의 개척자 문학평론으로 더욱 유명 - Biographia Literaria (상상력 이론) 두 부류의 시 ▶ 자연 명상시
reviewfairyjelly.tistory.com
'영미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미시 Gerard Manley Hopkins(제라드 맨리 홉킨스) No worst, there is none(이보다 더 나쁠수는 없다) (0) | 2022.11.20 |
---|---|
영미시, Matthew Arnold(매튜 아놀드), Memorial Verses April 1850(추모시) (0) | 2022.11.19 |
영미시 Samuel Taylor Coleridge(사무엘 테일러 콜리지) Kubla Khan(쿠빌라이 칸) (1) | 2022.11.17 |
영미시 존 밀턴 - 실낙원, John Milton - Paradise Lost (2) (0) | 2022.11.15 |
영미시 존 밀턴 - 실낙원, John Milton - Paradise Lost (1) (0) | 2022.11.15 |